연구

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

문화기술연구소

창의적이고 잠재력 있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문화기술대학원

문화기술연구소(CTRI)는 문화기술분야 학제 간 연구를 육성하기 위해 설립 운영하고 있습니다. 2006년에 문화기술연구센터로 시작하여 2012년 문화기술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20년 센터 중심으로 운영체계를 새롭게 정비하였습니다. 연구소의 비전과 역할은 ‘질문에 답하는 CT R&D 융합연구’를 통해 ‘문화산업분야 글로벌 가치창출을 선도하고 인류 행복과 번영에 기여’하는 것입니다.
현재 CTRI는 Future Game 연구센터, Augmented Humans 연구센터, Qreative Intelligence 연구센터와 Digital Cultural Heritage Initiative 등 총 3개의 연구센터와 1개의 선도연구그룹으로 구성되어 있고 약 20여명의 교수진과 10여명의 연구원 그리고 130여명의 대학원생이 참여하여 다양한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
  • 비전과 역할
    • 문화산업분야 글로벌 가치창출을 선도하고 인류 행복과 번영에 기여
    • 문화산업 신성장 동력 확보 위한 개방형 산학연 융합연구 플랫폼 구축 및 운영
    • 유택트(U-tact)시대 새로운 문화산업을 개척하고 선점하여 선도하는 CT R&D 수행
  • 전략
    • 문화산업 현장의 미래 수요 반영한 핵심 분야 선정 및 연구센터 중심의 융합연구 수행
    • ‘질문에 답하는’ 중장기 융합 연구 계획과 전임연구원 중심으로 융합연구 수행
    • 개방형 산학연 협력연구로 CT 원천기술 조기 확보 및 문화산업 현장 확산
  • 연혁
    • 2006. 5.

      문화기술연구센터 설립

      센터장
      원광연

    • 2012. 10.

      문화기술연구소 설립 승인

    • 2012. 12.

      명칭 변경

      소장
      이동만

    • 2016. 5.

      조직 정비

      소장
      노준용

    • 2020. 9.

      연구센터 중심 개편

      소장
      우운택

    • 2022. 9.

      소장
      이성희

  • 조직도
    • CT Research Institute
      • Steering Committee
      • Advisory Committee
      • Josumi Performing Arts Research Center
      • Art Technology Research Center
      • Future Games Research Initiative
      • Post Metaverse Research Center
      • Digital Culutral Heritage Initiative
    • 비전과 역할

      다학제적 기술 및 개념적 혁신을 통해 건강한 글로벌 게임 생태계에 공헌

    • 목표
      • 산업을 위한 기술 혁신
      • 커뮤니티를 위한 지식 및 창의적 해법 제공
      • 정부를 위한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
    • 추진 전략

      산업, 게임 커뮤니티, 정부를 아우르는 포괄적 접근

    • 연구 목표
      • 게임 디자인을 위한 창의적 기술 개발
      • 과학적 관찰을 통한 게임 데이터 분석
      • 게임에 대한 사회문화적 현상 이해
    • 연구팀 구성 및
      세부 연구 내용
      • 몰입형 미디어 : 인간의 인지를 바탕으로 게임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세대 미디어 기술
      • 인공지능 기반 게임 디자인 :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게임 디자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콘텐츠 생성 및 게임 플레이 모델링
      • 게임 플레이어 이해 : 특정 게임 경험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의 인지 및 감정 특성에 대한 정량 분석
      • 사회문화적 형태로써 게임 : 게임 플레이어 빅 데이터에 대한 네트웍 분석과 사회문화적 함의 연구
    • 게임 디자인을 위한 창의적 기술 개발, 과학적 관찰을 통한 게임 데이터 분석, 게임에 대한 사회문화적 현상 이해
      • 몰입형 미디어
        이성희, 이정미, 우운택
        노준용
      • 인공지능 기반
        게임 디자인
        남주한, 이성희, 노준용
      • 게임 플레이어 이해
        도영임, 이경면
      • 사회문화적 형태로써
        게임
        이원재
      • 산학연 협력
    • 비전

      XR로 가상융합경제 선점/선도하여 시민들의 경험 확장 및 삶의 질 향상

    • 목표

      사람의 능력을 시공간적으로 확장하는 실감/실측 XR (원격)협업 원천기술 확보

    • 추진 전략

      DNA+DT+XR로 사람의 육체적, 지적, 사회적 능력 확장

    • 연구 목표

      디지털트윈기반 XR 환경 협업 공존감 향상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

    • 연구팀 구성 및
      세부 연구 내용
      • 멀티모달 현실환경 (아바타, 객체, 공간) 모델링 및 재현 : 실감/실측 아바타기반 멀티모달 원격 협업 지원이 가능한 디지털트윈 모델링, 관리 및 재현
      • 실감/실측 디지털트윈기반 현실-가상 융합 및 (원격) 협업 : 사회적 공존감 향상 가능한 실감/실측 디지털 트윈의 현실공간 정합/증강 및 상호작용/(원격)협업 UI/UX 연구
      • 공존감 및 협업 성능/사용성 측정 지표 : 사회적 공존감 (효율성, 몰입감, 사용성, 공존감 등) 측정 지표 개발 및 공존감 향상 방법 연구
      • 응용 : 교육, 의료, 국방, 산업, 문화예술 등
    • 실감/실측 디지털트윈기반 이질적 XR환경 연동 몰입형 협업
      • 멀티모달 현실환경 (아바타, 객체, 공간) 모델링 및 재현
        이성희, 노준용, 남주한
        우운택
      • 실감/실측 디지털트윈기반 현실ㆍ가상 융합 및 (원격) 협업
        우운택, 안재홍, 이동만
      • 사회적 공전감 및 (원격) 협업 성능/사용성 측정 지표
        이정미, 이원재, 김정훈
        시정곤
      • 국제협력
        Vincent Lepetit(Paris Tech) Mark Billinghurst(UniSA) Hideo Saito(Keio Univ)
      • 산학연 협력
        PostMedia, VirNect, AST, eXtriple, Maxst, Victoria Production
    • 비전

      포스트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창의적 지능 ∙ 연구를 통해 창의적 삶 구현

    • 목표

      창의성 이해와 창의성 구현 기술 확보

    • 추진 전략

      창의적 지능 (intelligence) ∙ 직관 (insight) ∙ 영감 (inspiration) ∙ 상상 (Imagination) ∙ 발명 (Invention) ∙ 고안 (Ideation) 으로 융합적 “Qreative Eye”

    • 연구 목표

      창의성의 이해

    • 연구팀 구성 및
      세부 연구 내용
      • 창의성과 사회구조 : 인간 창의성 과학의 정립을 위한 데이터 분석과 창의적 혁신을 위한 사회구조
      • 맞춤형 디자인 : 사례 데이터와 계산학적 프로세스를 통한 추천과 맞춤형 디자인 시스템
      • 인공지능 음악과 인지과학 : 인공 지능 기반 음악 작곡과 인지과학적 연구
      • 조형과 시각적 사고 : 비정형적 조형의 우연적 요소와 시각적 사고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
    • 인간 창의성 규명과 구현을 위한 사회적구조 및 응용 서비스/시스템 개발을 위한 협업
      • 창의성과 사회구조
        박주용, 이원재, 남주한
      • 맞춤형 디자인
        이지현, 박주용
      • 인공지능 음악과 인지과학
        남주한, 이경면
      • 조형과 시각적 사고
        이진준, 박주용
      • 포스트 AI 연구소 협력
    • 비전

      문화유산 디지털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융복합 기술 개발로 문화유산의 보존과 과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

    • 목표

      문화유산의 디지털 전환 시기에 적합한 새로운 문화유산 해석/보존/향유 방법 개발

    • 추진 전략

      문화유산 디지털 데이터 기반의 해석 및 보존 기술 확보

    • 연구 목표

      문화유산 디지털화 기술의 고도화와 보존을 위한 데이터 활용 기술을 확보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실질적 기여도 향상

    • 연구팀 구성 및
      세부 연구 내용
      • 문화유산 디지털화 고도화 및 데이터 기반 해석/보존/복원 : 문화유산 유형에 따른 고품질 데이터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고도화 및 자동화, AI를 중심으로 보존과학과 융합하는 문화유산 데이터 해석, 분류, 재건 기술 개발
      • 내러티브 기반의 인터랙티브 무형유산 보존 기술 : 무형유산의 유형별 맞춤형 기록화, 3차원 데이터와 유형별 맥락에 적합한 내러티브 기반의 인터랙티브 교육/보존/향유 기술 개발, UI/UX 개발과 평가
      • 문화유산 맥락에서의 XR 요소 기술 : 문화유산의 보존과 향유를 맥락으로 하는 XR 활용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몰입감과 효용성 향상을 위한 가상문화유산 요소 기술 모델링, 디지털스토리텔링 및 UI/UX 개발과 평가
      • 실증연구 : 문화유산 전문가들과 개발기술을 실무에 활용하는 실증연구 수행하고 평가지표 개발
    • 문화유산 3차원 디지털 데이터 기반 융합형 기록/해석/보존/복원/체험
      • 문화유산 디지털화 고도화 및 데이터 기반 해석/보존/복원
        안재홍, 우운택
      • 내러티브 기반의 인터랙티브 무형문화 보존 기술
        이진준, 전봉관, 안재홍
      • 문화유산 맥락에서의 XR 요소 기술
        우운택, 이진준, 전봉관
      • 국제협력
        CIPA Heritage Documentation 소속 전문가들과의 협력 도모
      • 산학연 협력